임신 후기쯤 산후도우미 신청을 알아보고 신청했습니다.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명칭은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으로 각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과 쌍둥이의 부담금은 어느 정도가 되는지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이란?
보건소에서 전문교육을 받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출산 가정을 방문해 산모와 신생아를 돌봐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흔히 '산후도우미 신청'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는 산모의 건강 회복을 돕고 신생아를 보살펴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산후도우미)가 하는 일은?
산모건강관리
- 산모 신체 상태 조사
- 유방관리, 산후 부종 관리, 산후 체조 지원
- 좌욕 지원, 산모 위생관리
- 수유, 산후회복, 신생아 케어 관련 산모 교육
- 응급상황 발견 및 대응
- 산모·신생아 주 생활공간 청소
- 산모·신생아 의류 등 세탁
- 상담 및 말벗
- 산모 식사 준비
신생아 건강관리
- 신생아 건강상태 확인
- 신생아 청결관리, 수유지원, 위생관리
- 예방접종 지원
- 감염 예방 및 관리
- 응급상황 발견 및 대응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
- 산모·신생아 주생활 공간 이외 청소
- (다른 가족 방, 화장실, 공용공간(현관, 서재, 드레스룸, 베란다, 창고, 유리창, 마당 등), 수납공간(싱크대, 냉장고, 장롱, 찬장, 신발장 등), 기타 비일상적인 집안 대청소
- 산모·신생아 의류 등 이외 세탁
- 다른 가족 빨래, 고가 의류, 대형 빨래(침구, 커튼, 신발류, 부피 큰 계절 옷, 묵은 빨래 등)
- 산모·신생아 이외 식사 준비
- 가족과 친지 식사 준비, 자택 외 다른 장소에서의 식사 준비, 잔치음식, 저장식품(김치, 장류, 장아찌 등), 차 접대 수준을 넘는 손님 접대
-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가구/물건 옮기기, 큰아이 또는 다른 가족 돌보기, 운전대행, 애완동물 돌보기 등
신청기간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34주 3일) ~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장소
산모 등본 상 거주지 관할 보건소로 신청하거나 인터넷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구비서류
- 건강보험 카드 사본(부부가 맞벌이인 경우 각각 제출)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고지금액 1부, 신청일 기준 최근 월분(부부가 맞벌이인 경우 각각 제출)
- 신분증과 산모수첩
- 휴직자인 경우 최근 월 급여 명세서(소속 직장에서 발급하는 증명서로 휴직기간과 유무급여부, 최근 월급여액 등을 기재)
- 등본(부부 주소지가 다른 경우 가족관계 증명서 추가 제출)
- 출생증명서
지원대상
국내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가정 중에서
- 산모 또는 배우자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금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전국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 출산가정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으로 맞벌이 가구의 경우 부부 중 낮은 건강보험료 1/2 감경 후 합산하여 산정합니다.
(2022년 기준으로 2023년 금액은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기준을 초과하더라도 특수가정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별로 별도 소득기준을 정해 지원 가능합니다.
지원기간과 유효기간
바우처 유효기간은 원칙적으로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입니다. 다만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에는 신생아의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이지만, 이 경우에도 출산일로부터 120일을 초과할 수 없다고 합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산후도우미) 지원금액
2022년 금액으로 2023년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금액이 본인 부담금입니다.
구분에 가, 통합, 라는 기준중위소득의 구분인데 '가'는 서류제출로 자격확인을 해야 하고, '통합'은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일 경우, '라'는 150% 초과의 예외 지원일 경우의 금액 분류표입니다.
기준중위소득 150%이하에 쌍둥이로 인력2명을 할 경우에 저의 부담금은 1,152,000원이 되겠네요.
이렇게 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산후도우미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산후도우미 업체들 선택과 쌍둥이는 산후도우미 신청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쌍둥이 산후도우미 업체선정, 체크해야할 모든 정보!
쌍둥이 산후도우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업체 선정, 체크해야 할 모든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보건소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에 알아보았는데 이번은 쌍둥
ddookddak-twins.tistory.com
'뚝딱이 임신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성 쌍둥이 37주+4일에 여성병원에서 제왕절개 3kg 출산 후기 (0) | 2023.01.13 |
---|---|
쌍둥이 아기 용품 출산 준비물 필수템 목록 (1) | 2022.12.06 |
쌍둥이 산후도우미 업체선정 방법, 체크해야할 모든 정보! (2) | 2022.12.02 |
보건소 고위험 산모 임산부 의료비 지원 신청하기 (0) | 2022.11.20 |
임산부 영유아 산모 혜택 보건소 영양플러스 사업 신청자격 알아보기 (0) | 2022.11.19 |
쌍둥이 임신 후기 엄마의 출산준비물 필수품 리스트 10가지 (0) | 2022.11.16 |
쌍둥이 임신 중기, 자궁경부무력증 쉬로드카 수술(보험청구 가능) (0) | 2022.11.14 |
안산 단원보건소 임산부 등록하고 혜택 챙기기 (0) | 2022.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