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8

2023년 출산혜택 총 정리! 출산축하금, 아동수당, 산후조리비 등 출산 후에 신청해야 하는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부터 첫만남이용권, 출산축하금, 아동수당양육수당, 부모급여 등 출산 후에 신청해야 하는것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각 항목별 지원해주고 있는 금액은 얼마이고 지원 방식은 어떻게 되는지 2023년 출산혜택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출산혜택 총 정리.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출산을 하고 나면 첫만남이용권, 출산축하금, 아동수당, 양육수당, 부모급여, 해산급여,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출산가구 및 다자녀 전기료 경감 등을 신청해야 하는데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로 한 번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출생축하금, 출생축하선물과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같은 경우는 직접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만 신청을 받고 있기 때문에 처음 신청하시는 산모분들은 인터넷 신청보다는 주민센터.. 2023. 2. 27.
2023년 경기도 출산지원금 바우처 첫만남이용권 사용처 임신 후 출산을 하고 나면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것들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출생 아동에게 200만 원을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하는 첫만남이용권의 신청대상, 지원금액, 사용기간, 사용범위와 신청방법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첫만남이용권 신청대상, 지원금액, 사용기간, 사용범위 경기도 출산가정에 양육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자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22년 1월 1일생 아동부터 지급하는 바우처. 1. 신청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로 출생신고가 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만 0세의 영유아 2. 지원금액 : 출생아동 1인당 200만 원의 이용권을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 함이 원칙이나 예외적인 경우 현금 지급 아동복지법 위 조항에 따른 아동양육시설 또는 공동생활가정.. 2023. 2. 24.
경기도 임산부 혜택. 2월만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신청하세요! 올해도 경기도가 도내 임산부를 대상으로 연간 48만 원 상당의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를 제공하는 '경기도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을 실시합니다. 사업대상으로는 임산부 또는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또는 신청일 현재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2월만 신청을 받고 있으니 빠르게 신청해 볼까요? 경기도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안내 대상자 :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둔 신청일 현재 임신부 또는 2022년 1월 1일 이후 12개월 이내에 출산한 산모. 단,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 영양플러스를 지원받고 있는 임산부는 제외 ※ 수원시 등 31개 시·군, 임산부 20,000명 추첨 신청기간 : 2023.02.01 오전 10시 ~ 2023.02.28 오후 6시 지원내용 : 유기농·축·수산물 .. 2023. 1. 28.
이란성 쌍둥이 37주+4일에 여성병원에서 제왕절개 3kg 출산 후기 쌍둥이는 보통 예정일을 채워서 낳지는 않죠~. 대부분 35~36주쯤에 많이들 출산하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36주에 낳아야 미숙아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전 이 지원보다 아기들을 하루라도 더 품어서 키우고 싶었고 무엇보다 1월생을 만들어 주고 싶어서 최대한 버텼습니다. 아마 12월 말 출산이 아니었다면 그냥 36주에 낳았었겠죠? 대학병원으로 전원? 저는 대학병원에 차트를 만들어 두지 않았어요. 지역 내에 유명한 여성병원에서만 진료를 봤었어요. 보통 쌍둥이 산모들은 아기들이 거의 미숙아로 태어나서 니큐가 있는 대학병원에 차트를 만들어 두곤 합니다. 혹시 모를 일을 대비해 저도 만들었어야 했는데 초기부터 병원에 자주 입원해 있기도 했고, 코로나로 위험한 상황에 긴 대기를 하며 차트를 만들어 둘 만한 여력이.. 2023. 1. 13.
2023년 1월 1일부터 부모급여 지급 신청 부모급여란? 내년 2023년 1월 1일부터 부모 급여가 지급된다고 합니다. 기존 영아수당에서 부모 급여로 통합된 것이고요. 출산과 양육에 따른 부모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기 위해 만 0세에서 만 1세 자녀를 둔 부모에게 지원을 해준다고 하니 2023년에 신청하시면 될 거 같네요. 2023년 1월 1일부터 지급되는 부모급여 지급 대상과 지급 금액, 그리고 어린이집에 보냈을때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지급대상 2022년 출생아 만 0세 ~ 만1세까지 (~23개월까지) 지급금액 2024년에는 2023년 금액보다 확대할 예정이네요. 신청방법 온라인 -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정부24 홈페이지 오프라인 - 행정복지센터 또는 주민센터 방문 어린이집 보내도 받을 수 있나요? 만 0세의 경우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부모급.. 2022. 12. 13.
쌍둥이 아기 용품 출산 준비물 필수템 목록 출산하기 전에 아기 용품 준비물 필수템 목록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조리원 퇴소 후 바로 필요한 아기 용품들이 무엇이 있는지, 어떤 제품을 구매했었는지 적어볼게요. 저는 잦은 이벤트 때문에 유산, 조산의 불안감이 있어서 임신 말쯤부터 용품 구입을 시작했습니다. 쌍둥이 아기 용품 출산 준비물 필수템 목록 알아보기 1. 젖병, 젖꼭지 저는 초반에 국민젖병 더블하트 160ml로 8개를 준비했습니다. 신생아때 집에 와서 먹는 횟수는 7~8번 정도 되는데 한 아기당 4번씩밖에 사용을 못하겠죠? 그래도 용량이 적은 건 짧게 쓴다고 해서 자주 닦아서 돌려 썼습니다. 아기들 분유수유할때 젖병이 크면(240ml) 공기가 많이 들어가서 배앓이할 확률이 높으니 작은 걸로 적게 준비해서 사용하세요. 배앓이하면 시시때때로 울어요.. 2022. 12. 6.
쌍둥이 산후도우미 업체선정 방법, 체크해야할 모든 정보! 출산 후 이용하는 산후도우미 업체는 어디서 알아보는지, 체크해야할 것은 무엇일까요? 쌍둥이 산후도우미 이모님들은 한 분을 신청할지, 두 분을 신청할지, 몇주를 신청해야 하는지도 너무 고민되시죠? 업체 선청 방법과 체크해야할 정보. 저의 후기를 보시고 나면 결정이 되실거라 확신합니다. 산후도우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업체 둘러보기 이거 모르시는 분 많으실 겁니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이트에 갑니다. https://www.socialservice.or.kr:444/user/svcsrch/supply/supplyList.do 거주하시는 시군을 선택,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체크 하시고 조회를 하시면 기관 업체들 목록이 쭉 나옵니다. 저는 경기도 안산에 거주하고 있어 안산으로 조회를 .. 2022. 12. 2.
출산 전 해야하는 산후도우미 신청,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임신 후기쯤 산후도우미 신청을 알아보고 신청했습니다.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명칭은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으로 각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과 쌍둥이의 부담금은 어느 정도가 되는지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이란? 보건소에서 전문교육을 받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출산 가정을 방문해 산모와 신생아를 돌봐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흔히 '산후도우미 신청'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는 산모의 건강 회복을 돕고 신생아를 보살펴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산후도우미)가 하는 일은? 산모건강관리 산모 신체 상태 조사 유방관리, 산후 부종 관리, 산후 체조 지원 좌욕 지원, 산모 위생관리 .. 2022. 11. 30.
보건소 고위험 산모 임산부 의료비 지원 신청하기 오늘은 고위험 산모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이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진단을 받은 산모들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에 해당하는 산모가 지원 대상이며 조기진통, 분만 관련 출혈, 중증 임신중독증, 다태아 등이 해당됩니다. 입원치료비 중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의 90%를 1인당 300만 원 한도로 지원해 주고 있습니다. 저도 해당이 되서 병원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출산한 병원에서 알려주기도 했고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하러 갔을 때 지원사업 내용을 보기도 했었어요. 우선 지원대상이 어떻게 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지원대상 - 소득 기준 - 주민등록등본 상 산모의 주소지가 단원구인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부부 중 .. 2022. 11. 20.
임산부 영유아 산모 혜택 보건소 영양플러스 사업 신청자격 알아보기 임산부나 영유아, 수유 중 산모에게 보건소에서 혜택을 줍니다. 기준중위소득을 따져 우유 및 여러 식품들을 지원해주는 영양플러스 사업인데요. 주변에서 산모분들이 미역이나 우유 같은 거 받은 거 본 적 있으신가요? 그게 영양플러스 사업입니다. 저는 임신했을 당시엔 자격이 되지 않아서 못했습니다. 출산 후에는 소득에 변동이 있어 자격요건이 되었고요. 저는 안산시 단원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어 단원구 보건소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영양플러스 사업 참여 안내 1. 접수기간 : 상시 모집(유선 접수 가능) 2. 접수장소 : 단원보건소 1층 모자보건실 (031-481-6479) 3. 지원대상자 : 아래 4가지 선정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자 대상분류 : 만 66개월 미만의 영유아, 임신부, 6개월 미만의 출산부, 수유.. 2022. 11. 19.
728x90